버본 커피란?버본(Bourbon)은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아라비카(Arabica) 커피 품종 중 하나로, '티피카(Typica)'와 함께 아라비카 커피의 주요 두 계보로 꼽힙니다. 이 품종은 현재까지도 스페셜티 커피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우수한 향미, 균형 잡힌 산미, 풍부한 단맛 때문입니다.용어 정리 아라비카(Arabica):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커피 종으로, 스페셜티 커피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품종(Variety): 같은 종(種) 내에서 형질이 유사하게 유지되는 군(群)을 뜻하며, 일반 식물학에서는 ‘품종’을 ‘변종(Varietal)’이라고 부르기도 함.버본의 역사와 기원 레위니옹 섬(과거 ‘부르봉 섬’)에서 시작버본이라는 이름은 원산지인 부르봉(Bourbon) 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섬은 현재 인도양 서쪽에 위치한 레위니옹(Reunion)이라는 섬으로, 1700년대 초 프랑스 선교사들이 예멘에서 커피 종자를 들여와 재배한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남미와 중미로 확산이후 19세기 중반부터 브라질을 거쳐 남미와 중미로 빠르게 전파되었고, 각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맞춰 개량 및 돌연변이가 이루어지면서 오늘날의 다양한 버본 계열 품종들이 탄생했습니다. 참고 자료 World Coffee Research - Bourbon James Hoffmann, 『The World Atlas of Coffee』생육 특징 및 재배 환경 키가 큰 수형버본은 **키가 큰 수형(tall stature)**을 가지는 아라비카 품종입니다. 잎과 가지가 위로 길게 뻗는 편이어서, 재배 시 농장의 토양 환경과 수확 편의성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새 잎 색과 체리 모양 새 잎의 끝이 녹색으로 피어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체리(열매)는 보통 타원형이며, 꼭지가 둥그렇게 형성되고, 콩의 센터컷(중앙 갈라진 부분)은 중간 정도로 열려 있습니다. 중간 정도의 생산성전반적으로 생산량이 극도로 높진 않지만, 관리가 잘 이루어진 농장에서는 안정적인 수확이 가능합니다. 다만, 동시에 질병(특히 커피 녹병)과 해충에 취약한 편이라 세심한 방제가 필수적입니다. 고지대 재배에서 탁월한 품질 버본은 **고지대(약 1,400m 이상)**에서 재배될 때 체리가 서서히 익어 풍미와 단맛이 극대화된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중남미, 특히 엘살바도르·과테말라·코스타리카 등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훌륭한 컵 프로파일을 선보입니다. 아프리카에서도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등의 고지대에서 버본 계열 품종이 재배되며, 감귤류의 산미와 함께 단맛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합니다. 참고 자료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SCA) 커피 재배 가이드 World Coffee Research - Coffee Leaf Rust 풍미 특성 (컵 프로파일) 1) 산미(Acidity)버본 커피는 일반적으로 밝고 깨끗한 산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재배 지역과 고도, 가공 방식에 따라 산미의 종류(과일류, 감귤류, 사과류 등)는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2) 단맛(Sweetness)버본은 당도가 높다고 평가받는 품종 중 하나입니다. 고지대에서 천천히 익은 체리는 과육에 당분이 더욱 축적되어, 컵에서 달콤한 과일 맛이나 초콜릿, 캐러멜 같은 단맛이 부각될 때가 많습니다.3) 밸런스(Balance)산미, 단맛, 바디(body)가 적절히 조화된 ‘밸런스’가 뛰어나, 대중적으로도 선호도가 높습니다. 신맛을 싫어하는 분이라면, 로스팅을 중배전 이상으로 진행해 묵직한 바디와 단맛을 더 이끌어낼 수도 있습니다.참고 자료 Coffee Cupping & Flavor Wheel - SCA 파생 품종: 카투라(Caturra), 파카스(Pacas) 등버본은 오랜 재배 역사 속에서 돌연변이나 인위적 교배를 통해 여러 후손 품종을 낳았습니다. 대표적으로 카투라(Caturra), 파카스(Pacas)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카투라(Caturra) 브라질에서 발견된 버본의 자연 돌연변이 품종 버본에 비해 키가 낮아(Dwarf) 관리가 편리하고, 생산성이 높은 편 커피 녹병 등 일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조금 더 나은 편 컵 프로파일은 버본 특유의 단맛과 산미를 어느 정도 유지 파카스(Pacas) 엘살바도르에서 발견된 버본 돌연변이 품종 카투라와 비슷하게 키가 낮은(dwarf) 특징 생산성이 괜찮고, 버본 특유의 달콤하고 깨끗한 맛을 유지 이외에도 옐로 버본(Yellow Bourbon), 오렌지 버본(Orange Bourbon) 등 체리 색깔이나 재배 지역, 교배 품종에 따라 다양한 파생 형태가 존재합니다. 마무리 & 참고 자료버본(Bourbon)은 아라비카 커피의 역사를 관통해 온 핵심 품종으로, 균형 잡힌 산미와 높은 단맛 덕분에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재배가 까다로운 만큼 관리에 정성을 들이면 스페셜티 등급 이상의 뛰어난 컵 품질을 기대할 수 있죠.여러분이 평소 즐겨 마시는 커피가 만약 ‘버본 계열’이라면, 다음에는 로스팅 정도와 산지 특성을 조금 더 살펴보며 맛보시는 건 어떨까요? 분명 새로운 커피 세계가 펼쳐질 것입니다. 추가 참고 자료 World Coffee Research - Bourbon James Hoffmann, 『The World Atlas of Coffee』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SCA) Wikipedia - Bourbon coffee